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 콘텐츠시작
지원사업 상세
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페이지
2021년 스마트공장 보급ㆍ확산사업 공고
분류체계 |
|
신청기간 | 세부사업별 상이 |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한 지원사업입니다. |
---|
※ 사업신청을 하시기 전에 사업에 관한 내용을 반드시 숙지하신 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연도별 지원이력 현황
지원기업 현황
지원기업 경영성과 현황
사업개요
중소ㆍ중견기업 제조현장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공장 구축ㆍ고도화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비용을 지원하여 기업의 제조혁신 경쟁력 향상을 도모해 드립니다.
☞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 스마트화 역량강화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지원조건 및 내용
사업명 |
지원유형 |
지원내용 |
정부지원금 (기업 당, 최대) |
모집기간 |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
기초 |
ㅇ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해 IoT, 5G, 빅데이터, ARㆍ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 제어기, 센서 등 지원 |
0.7억원 |
(1차) 1.22~2.25 (2차) 4.1~4.30 (3차) 6.1~6.30 | |
고도화1 |
2억원 | ||||
고도화2 |
4억원 | ||||
디지털 클러스터 (일반형) |
기초 |
ㅇ 유망 선도기업 또는 가치사슬이 밀접한 다수 협력사 중심으로 공동ㆍ협업스마트시스템 구축 및 개별 스마트공장 보급 지원 |
0.7억원 |
(기획기관) 1.22~2.25 (클러스터) 별도모집 | |
고도화1 |
2억원 | ||||
고도화2 |
4억원 | ||||
대중소 상생형 |
기초 |
ㅇ 주관기관(대기업 등)이 중소ㆍ중견 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정부가 비용 일부 지원 |
0.42억원 |
1.22~6.30 | |
고도화1 |
1.2억원 | ||||
업종별 특화 |
기초 |
ㅇ 제조공정(업종)별 특화 솔루션 및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 구축 지원 |
0.7억원 |
1.22~3.25 | |
고도화1 |
2억원 | ||||
고도화2 |
4억원 | ||||
비고 |
* 고도화2 사업은 2차 모집기간부터 참여기업 신청ㆍ접수 진행 * (대중소상생형, 업종별특화) 참여기업 모집은 추후 별도 공고 | ||||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 |
ㅇ 로봇엔지니어링, 로봇 도입, 로봇활용교육 등 패키지 지원 |
3억원 (유턴기업 5억원) |
1.22~2.25 | ||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
ㅇ 기업의 제조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고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및 확인서 제공 |
80만원 |
(확인기관) 1.22~2.25 (참여기업) 수시(3.2~) | ||
스마트화 역량강화 |
ㅇ 전문 컨설팅기관의 컨설팅 지원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 생산성 향상 등 구축성과 제고 |
(심화) 500만원 (기본) 250만원 (원포인트) 100만원 |
(컨설팅기관) 1.22~2.25 (참여기업) 수시(1.22~) | ||
스마트 마이스터 운영 |
ㅇ 대기업 등 스마트공장 현장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활용 스마트공장 구축 애로 해결 |
837만원 |
수시(4.1~) | ||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 |
ㅇ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수의 중소기업이 공동활용 가능한 업무용 솔루션 구축 지원 |
1.4억원 |
1.22~3.10 | ||
스마트공장 사후관리 |
ㅇ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에 대한 사후관리 지원을 통한 운영 효율성 제고 및 디지털 전환 촉진 |
(긴급복구형) 5백만원 (성장연계형) 20백만원 |
수시(1.22~) |
* 사업에 따라 신청자격, 적용사항, 방법 등이 다르므로 아래 사업별 공고내용을 반드시 확인 필요
ㅇ 주요 변경사항
사업명 |
구분 |
변경내역 | ||||||||||||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
지원유형 |
※ 수준향상 없는 재신청은 기업당 수준별 1회만 신청 가능 | ||||||||||||
사업기간 |
- 세부 사업별 구축범위를 고려한 사업기간 차등 적용 * (기초) 최대 6개월 / (고도화1) 최대 9개월 / (고도화2) 최대 12개월 * 연장신청을 통해 3개월 연장가능 | |||||||||||||
모집방식 |
연중수시 모집에서 차수별 모집ㆍ선정(3차+α)으로 개편(상생형, 업종별특화 제외) | |||||||||||||
추진절차 |
* 고도화1(선택), 고도화2는 도입ㆍ공급기업 컨소시엄 구성하여 신청 | |||||||||||||
코디적용 |
지원유형별 코디네이터 지원(기초(필수), 고도화1(선택)) * 고도화1 사업은 도입기업에서 코디네이터 지원여부 선택가능 * 고도화2 사업은 코디네이터 매칭 없이 컨소시엄 단위 선정 ※ 대중소상생형은 코디네이터 미적용이며, 업종별특화는 코디네이터 적용여부를 운영기관이 선택 | |||||||||||||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를 지원기한 확대(소기업, 3년→5년) * 일반기업은 3년으로 동일 | |||||||||||||
클라우드 방식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환비용 사업비 포함 가능 | ||||||||||||||
추가지원 |
상생형 지역일자리 기업 : 정부지원금 최대 0.5억원 추가 지원 유턴기업 지원금 확대 : 정부지원금 최대 50% 상향 지원 | |||||||||||||
교육강화 |
도입기업 임직원의 스마트공장 교육과정 수료 의무화 * 스마트화역량강화, 스마트마이스터 사업 참여시 의무교육 대상에서 제외 | |||||||||||||
로그기록 |
- 스마트공장 사후관리 모니터링을 위해 구축 이후 솔루션 사용 로그정보 수집예정 | |||||||||||||
가점 |
- 코로나19 대응 관련 방역물품, 백신ㆍ치료제 등 제조기업 가점(5점) 추가 - 환경부 ‘스마트 생태공장 사업’ 선정기업 가점(3점) 추가 - 산단대개조 산단 입주기업 가점(3점) 추가 스마트공장 재직자 장기심화과정, CEO 대상 스마트화 리더십 이수기업(3점) 추가 - 노동시간 조기단축의 공휴일 유급휴일 전환 기업 가점(3점) 추가 - 데이터 포맷 규격화(예, AAS 등) 적용 기업 가점(3점) 추가 | |||||||||||||
- 업종별특화 운영기관 선정 시 신청 수요기업의 과반수 이상이 코로나19 대응과 관련된 방역물품, 백신ㆍ치료제 등의 제조기업일 경우 가점 3점 인정 | ||||||||||||||
신규사업 |
디지털 클러스터(일반형) 사업 신규 추진 | |||||||||||||
로봇활용제조혁신 |
가점 |
- ‘강소기업 스타트업100’ 선정기업(2점) 추가 | ||||||||||||
스마트공장 사후관리 |
신설 |
- 스마트공장 활용도 및 효율성 향상 지원을 위한 사후관리 신규 추진 |
신청방법 및 서류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담당부서 | 세부사업별 담당기관 |
---|---|---|---|
전화번호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홈페이지URL | https://smart-factory.kr/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담당부서 | 세부사업별 담당기관 |
---|---|---|---|
전화번호 | 하단의 문의처 참조 | 홈페이지URL | https://smart-factory.kr/ |
담당자명 | 사업담당자 |
기타사항
문의처
ㅇ 사업별 담당기관 연락처
구분 |
기관명 |
연락처 |
공고내용 문의 |
중소벤처기업부 |
국번없이 1357 |
신규구축 및 고도화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지역별 문의처 참조 |
디지털 클러스터(일반형) |
042-388-0859 | |
대중소 상생형 |
042-388-0861 | |
업종별특화 |
042-388-0853 | |
스마트공장 수준확인 |
042-388-0856 | |
스마트화 역량강화 |
042-388-0852 | |
스마트 마이스터 운영 |
042-388-0852 02-6050-3855 | |
클라우드기반 솔루션개발 |
1644-1736, it.smplatform.go.kr | |
로봇활용 제조혁신지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053-210-9552~5 |
스마트공장 사후 관리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055-751-9292, 9771 |
ㅇ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제조혁신센터, TP)
지역 |
기관명 |
연락처 |
서울 |
서울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2-944-6057 |
부산 |
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1-974-9155 |
대구 |
대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3-602-1859 |
경북 |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3-819-3045~6, 3055~9 |
포항 |
포항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4-223-2242/2245 |
광주 |
광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2-602-7514 |
전남 |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1-729-2831~4 |
제주 |
제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4-720-3074 |
경기 |
경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1-500-3100 |
경기북부 |
경기북부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1-539-5140 |
인천 |
인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2-260-0626~9/0661~4 |
대전 |
대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2-930-4351 |
충남 |
충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1-589-0705 |
세종 |
세종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4-850-2152/2154 |
울산 |
울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52-219-8910/8588/8627 |
강원 |
강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33-248-5682 |
충북 |
충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43-270-2812 |
전북 |
전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063-832-6049 |
경남 |
경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
1811-8297 |
ㅇ 스마트공장 사후관리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기관명 |
지역 |
연락처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서울지역본부 |
02-2106-7454 |
인천지역본부 |
032-837-7031 | |
경기지역본부 |
031-260-4931 | |
강원지역본부 |
033-269-6942 | |
충북지역본부 |
043-903-9356 | |
대전세종지역본부 |
042-281-3746 | |
충남지역본부 |
042-481-4586 | |
대구지역본부 |
053-656-8176 | |
경북지역본지부 |
054-440-5912 | |
울산지역본부 |
052-703-1123 | |
부산지역본부 |
051-630-7402 | |
경남지역본부 |
055-270-9769 | |
전북지역본부 |
063-276-8218 | |
광주지역본부 |
062-600-3061 | |
전남지역본부 |
061-331-8707 | |
제주지역본부 |
064-754-51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