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 콘텐츠시작
지원사업 상세
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페이지
2020년 생활용 섬유제품 역량강화 사업 지원대상기업 모집 통합공고
분류체계 |
|
신청기간 | 2020-04-16 ~ 2020-04-22 |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한 지원사업입니다. |
---|
사업개요
국내외 생활용 섬유제품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대응하여 고부가가치 생활용 섬유제품의 글로벌 시장개척 및 수출확대를 위해 국내 생산기반 강화와 브랜딩ㆍ마케팅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국내 생활용 섬유제품 생산 및 제조 기업(이불, 베개커버, 요커버, 커튼ㆍ암막지, 가구용 섬유 제품 등)
☞ 고부가 생활용 섬유의 시제품 제작 및 기업 맞춤형 기술 컨설팅, 글로벌 수출확대 마케팅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자격
구분 |
지원명 |
지원자격 | |
P1 |
수요(완제품)-소재 기업 연계형 고부가 생활용 섬유제품 시제품 제작지원(컨소시엄지원형) |
소재분야 |
- 생활용 섬유 제품용 소재 생산 및 염가공 기업 - 침장 및 인테리어 등 생활용 섬유 완제품 생산, 판매 기업 - 수요(완제품)-소재/염가공 간 컨소시엄 구성 가능 기업 - 고부가 제품 개발을 통해 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기업 |
P2 |
염가공분야 | ||
P3 |
글로벌 특화 친환경 선도제품 개발 지원(컨소시엄지원형 혹은 단독지원형) |
소재분야 |
- 친환경 생활용 섬유제품 관련 소재/염가공 또는 수요(완제품) 생산 기업 - 생활용 친환경 섬유제품 개발을 통한 수출 도모 기업 - 단독지원 또는 수요(완제품)-소재/염가공 간 컨소시엄 구성 가능(선택) |
P4 |
염가공분야 | ||
P5 |
생산특화 맞춤형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제작 기술지원(단독지원형) |
- 생활용 섬유제품 침장 및 인테리어 전문 제조(유통) 기업 - 매출규모 3억 이상~100억 미만 기업(2019년 기준) | |
M1 |
고부가가치 맞춤형 생활용 섬유 브랜딩(BI)지원 |
- 시제품 제작 지원 선정기업 우대 - 비주얼 브랜딩 및 브랜딩 전문가의 컨설팅이 필요한 기업 | |
M2 |
글로벌 수출판로 개척지원[미주시장] |
- 시제품 제작 지원 선정기업 우대 -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침장 및 인테리어 제품 보유 기업 우대 - 미주시장의 판로개척이 필요한 기업 및 의지가 있는 기업 | |
M3 |
국내외 전시 및 온라인 채널 구축지원[유럽, 중국, 국내] |
- 국내외 홈·인테리어 프리미엄 전시회에 참가 의지가 있는 기업 우대 - 유럽, 중국, 내수 시장의 판로 개척이 필요한 기업 - 온라인 채널을 통한 마케팅 지원이 필요한 기업 |
※ 생활용 섬유제품
- 침장용 : 이불, 베개커버, 요커버, 담요, 시트, 쿠션 등
- 인테리어용 : 커튼・암막지・블라인드, 벽지, 카펫, 러그, 가구용 섬유 제품 등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내용
구분 |
유형 |
지원명 |
주요내용 |
지원기관 | |
P1 |
고부가 생활용 섬유의 시제품 제작 및 기업 맞춤형 기술 컨설팅 지원 |
수요(완제품)-소재기업 연계형 고부가 생활용 섬유제품 시제품 제작지원 (컨소시엄 지원형) |
소재분야 |
ㅇ 지원규모 : 수혜기업 11개 컨소시엄(22개사 내외) - 컨소시엄 구성 : 수요(완제품) 기업 1개사 + 소재 기업 1개사 - 지원금 24,000천원, 기업부담금 24,000천원 ㅇ 지원내용 - 수요 맞춤형 고부가 아이템 시제품 제작지원 - 원사, 사가공, 제직 및 편직 등 기능성 제품개발 기술지원 - 생활용 섬유제품 기획 및 기술 컨설팅 지원 - 최적 용도의 완제품(샘플) 및 소재북 제작지원 |
한국섬유 개발연구원 [첨부1_P1참조] |
P2 |
염가공분야 |
ㅇ 지원규모 : 수혜기업 8개 컨소시엄(16개사 내외) - 컨소시엄 구성: 수요(완제품) 기업 1개사 + 염가공 기업 1개사 - 지원금 24,000천원, 기업부담금 24,000천원 ㅇ 지원내용 - 수요 맞춤형 고부가 아이템 시제품 제작 지원 - 염색, 후가공, 텍스타일디자인 등 기능성 제품개발 기술 지원 - 생활용 섬유제품 기획 및 기술 컨설팅 지원 - 최적 용도의 완제품(샘플) 및 소재북 제작 지원 |
DYETEC 연구원 [첨부2_P2참조] | ||
P3 |
글로벌 특화 친환경 선도제품 개발 지원 (컨소시엄 지원형 혹은 단독지원형) |
소재분야 |
ㅇ 지원규모 : 수혜기업 단독지원 또는 1개 컨소시엄 - 지원금 30,000천원, 기업부담금 30,000천원 - 컨소시엄 구성할 경우 : 수요(완제품) 기업 1개사 + 소재 기업 1개사 ㅇ 지원내용 - 글로벌 특화 생활용 친환경 섬유 시제품 제작지원 - 친환경 소재, 제직, 편직 및 친환경 가공 등 선도제품개발 기술지원 - 글로벌 특화 생활용 섬유제품 기획 및 기술 컨설팅 지원 - 최적 용도의 완제품(샘플) 및 소재북 제작지원 |
한국섬유 개발연구원 [첨부3_P3참조] | |
P4 |
염가공분야 |
ㅇ 지원규모 : 수혜기업 단독지원 또는 1개 컨소시엄 - 지원금 30,000천원, 기업부담금 30,000천원 - 컨소시엄 구성할 경우 : 수요(완제품) 기업 1개사 + 염가공 기업 1개사 ㅇ 지원내용 - 글로벌 시장 맞춤형 친환경 선도제품 제작 지원 - 친환경 소재, 염색 및 친환경 가공 등 선도제품개발 기술지원 - 글로벌 특화 생활용 섬유제품 기획 및 기술 컨설팅 지원 - 최적 용도의 완제품(샘플) 및 소재북 제작지원 |
DYETEC 연구원 [첨부4_P4참조] | ||
P5 |
생산특화 맞춤형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제작 기술지원 (단독지원형) |
ㅇ 지원규모 : 16개사 내외 - 지원금 20,000천원, 기업부담금 12,000천원 ㅇ 지원내용 - 시제품 제작 및 패킹 패키지 포장재 디자인 개발 지원 -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개발 - 맞춤형 사업화 컨설팅 및 홍보 마케팅 자료 제작 지원 |
한국패션 산업연구원 [첨부5_P5참조] | ||
M1 |
글로벌 수출확대 마케팅 지원 |
고부가가치 맞춤형 생활용 섬유 브랜딩(BI)지원 |
ㅇ 지원규모 : 10개사 내외 ㅇ 지원내용 - 맞춤형 단계별 브랜딩(BI)지원 : 신규 브랜드(BI), 리뉴얼 브랜딩, 패킹디자인, 브랜드 방향설정, 상표권리화 등 - 브랜딩 전문가와 기업 연계 기업별 현장방문 맞춤형 컨설팅 지원(기업당 3회) |
대구경북섬유 산업연합회 [첨부6_M1참조] | |
M2 |
글로벌 수출판로 개척지원 [미주시장] |
ㅇ 지원규모 : 10개사 내외 ㅇ 지원내용 - 미주시장 생활용 섬유제품 관련 전문 전시회 한국 공동관 운영 및 바이어 상담 지원 - 전시회 참가를 위한 상품 프로모션물 제작지원 - 업체별 맞춤형 수출, 마케팅 1:1 컨설팅 지원 - 미주시장(뉴욕, LA 등) 신규 바이어 확보 지원 |
대구경북섬유 산업연합회 [첨부7_M2참조] | ||
M3 |
국내외 전시 및 온라인 채널 구축지원 [유럽, 중국, 국내] |
ㅇ 지원규모 : 각 전시별 10개사 내외 ㅇ 지원내용 - 국내외 전시회 단독부스 및 공동관 임차 및 장치 지원 - 국내 : Preview in Seoul 2020 (9월, 대한민국 서울) - 유럽 : Maison & Objet 2020 (9월, 프랑스 파리) - 상해 : Intertextile Shanghai Home Textile 2020 (8월, 중국 상해) - Ktextile.net 연계 온라인 채널 구축 지원 (희망기업대상) - Ktextile.net 內 온라인 마케팅 지원 (Market-place) - 트렌드 북 대여 및 전문가 동향 자료 제공 지원 ※코로나19에 따른 전시 취소 시 이월 또는 대체전시 지원 |
한국섬유 수출입협회 [첨부8_M3참조] |
※ 시제품 제작지원(P1~P5)은 기업당 1개만 지원가능하며, 기업부담금은 현금으로 지원금의 1:1(지원금:기업부담금) 매칭을 원칙으로 함 (단, P5는 설명자료 참조)
※ 시제품 제작지원(P1~P5 중 택1)신청기업은 글로벌 수출확대 마케팅 지원도 중복하여 지원이 가능함 (M1~M3 중 중복선택 가능)
※ 단, 국내외 전시 및 온라인 채널 구축지원(M3)은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이 상이하므로 세부내용은 [첨부8_M3] 설명자료 참조
※ 지원분야별 세부내용은 첨부 설명자료 참조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후 서류는 우편 및 방문 제출
- 프로그램별 지원기관(하단의 문의처 참조)
ㅇ 신청 서류 : 개발제안서, 참여의사확인서, 개인 및 기업정보동의서 등
기타사항
문의처
구분 |
지 원 명 |
접수처 및 문의처 | |
P1 |
수요(완제품)-소재 기업 연계형 고부가 생활용 섬유제품 시제품 제작지원 (컨소시엄지원형) |
소재분야 |
ㅇ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협력지원팀 신용탁 선임연구원 - TEL : 053) 560 – 6503 - E-mail : ytshin@textile.or.kr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 13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협력지원팀 |
P2 |
염가공분야 |
ㅇ DYETEC연구원 소재빅데이터연구센터 황혜진 전임연구원 - TEL : 053) 350 – 3912 - E-mail : hhjin@dyetec.or.kr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천로 92 DYETEC연구원 소재빅데이터연구센터 | |
P3 |
글로벌 특화 전략품목을 위한 친환경 선도제품 개발 지원 (컨소시엄지원형 혹은 단독지원형) |
소재분야 |
ㅇ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협력지원팀 신용탁 선임연구원 - TEL : 053) 560 – 6503 - E-mail : ytshin@textile.or.kr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 13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협력지원팀 |
P4 |
염가공분야 |
ㅇ DYETEC연구원 소재빅데이터연구센터 황혜진 전임연구원 - TEL : 053) 350 – 3912 - E-mail : hhjin@dyetec.or.kr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천로 92 DYETEC연구원 소재빅데이터연구센터 | |
P5 |
생산특화 맞춤형 디자인 개발 및 시제품제작 기술지원 (단독지원형) |
ㅇ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산지원팀 박희주 선임연구원 - TEL : 053) 721 – 7453 - E-mail : soso8005@krifi.re.kr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5길 26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생산지원팀 | |
M1 |
고부가가치 맞춤형 생활용 섬유 브랜딩(BI)지원 |
ㅇ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전략사업본부 천규호 계장 - TEL : 053) 980 – 1022~4 - E-mail : khtree7@dtcomplex.org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227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전략사업본부 | |
M2 |
글로벌 수출판로 개척지원[미주시장] | ||
M3 |
국내외 전시 지원 [유럽, 중국, 국내] |
ㅇ 한국섬유수출입협회 R&D지원본부 윤선영 대리 - TEL : 02) 528 – 5006 - E-mail : sy_youn@textra.or.kr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201 송파테라타워2 B동 710-711호 한국섬유수출입협회 R&D지원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