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 콘텐츠시작
지원사업 상세
중소기업 지원사업 상세페이지
2020년 4차 온라인 공동활용 화상회의실 구축사업 일반형 수요기관 모집 공고
분류체계 |
|
신청기간 | 2020-12-08 ~ 2020-12-22 | 온라인 신청이 불가능한 지원사업입니다. |
---|
사업개요
☞ 중소ㆍ벤처기업 지원이 가능한 기관 및 협회ㆍ단체
☞ 화상회의 장비, 소프트웨어솔루션 구입비용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대상 : 중소ㆍ벤처기업 지원이 가능한 기관 및 협회ㆍ단체ㆍ지자체
* 중소ㆍ벤처기업에게 입주공간과 경영ㆍ자금 등을 지원하는 시설 또는 중소ㆍ벤처기업이 밀집된 지역에 위치하는 기관으로 화상회의실 운영을 희망하는 기관(단체ㆍ협회ㆍ지자체 등)
ㅇ 기관 및 협ㆍ단체의 자격요건 예시
①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제28조의2에 따른 지식산업센터
②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6조에 따른 창업보육센터
③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제5조에 따라 지정된 테크노파크
④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4조의7 및 동법 시행령 제5조의6에 따른 창조경제혁신센터
⑤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육성에 관한법률」제8조에 따른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⑥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따른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⑦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지정된 공공기관
⑧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인정하는 기업지원센터(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중소기업지원센터)
⑨ 「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3조에 따른 중소기업협동조합·협회
⑩ 「기술보증기금법」 제12조에 따라 설립된 기술보증기금
⑪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63조에 따라 설립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⑫ 「상공회의소법」 제4조에 따른 상공회의소
⑬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른 정부출연연구기관
⑭ 「산학협력법」 제25조에 따른 대학의 산학협력단
⑮ 「지방출자출연법」 제4조에 따른 출자출연기관
⑯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6조, 제7조, 제7조의2, 제8조에 따라 지정된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농공단지의 관리기관
⑰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0조 제1항 제10호에 따른 산업수요맞춤형 고등학교 및 제91조 특성화고등학교
⑱ 기타 정부가 인정하는 업종별 협·단체, 비영리사단법인 등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기간 : 선정일부터 협약일까지(선정일 ~ ’21.1.29까지 예정)
ㅇ 선정규모
- 일반형 : 400개소 내외 수요기관
* 예산소진 상황에 따라 선정규모 변동 가능
ㅇ 지원내용 : 화상회의 장비, 소프트웨어솔루션 구입비용 등
- 수요기관 지원내용
유형 |
지원 내용 |
세부 내용 |
지원예산 |
비고 |
일반형 (400개소 내외) |
▪ 화상회의실 구축 * 기존 수요기관 회의실을 활용하여 구축 |
▪ 화상회의실 구축비용 지원 - 소형 : 7인실 이하 - 중형 : 8인실~16인실 - 대형 : 17인실 이상 * 영상장비, 음향장비, 제어장비, 화상회의 솔루션 |
소형 8백만원이내 |
소·중·대 회의실 中 택 1 |
중형 12백만원이내 | ||||
대형 12백만원이내 |
* [붙임 2] 일반형 화상회의실 표준 구축사양 참조
ㅇ 신청규모 : 수요기관별 건물 내 1개소 신청 가능
※ 운영기관별로 선정한 공급기업은 해당 지역내에서만 수요기관을 직접 발굴할 수 있으며, 화상회의실 구축 관련 종합 컨설팅 제공 등을 통해 수요기관에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
- 동일 소속 기관에서 분리된 건물에 화상회의실을 구축할 경우, 사업 신청서를 별도 작성하여 추가 신청 가능
ㅇ 지원예산 : 화상회의실 구축 비용은 전액 국비로 지원하며, 구축 후 화상회의실 운영을 위한 필요경비는 전액 수요기관 부담
* 본 사업은 비영리 목적 사업으로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지원하며, 추후 부가가치세는 불공제 처리를 원칙으로 함(영상장비를 활용한 수익사업은 영위 불가)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e-나라도움(www.gosims.go.kr)
※ e-나라도움을 통해 사업 참여 신청·접수(운영기관별로 신청·접수란이 상이하오니 사업 신청 시 권역(지역) 및 기관명을 필히 확인)
ㅇ 제출 서류 :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개인정보활용동의서 등
기타사항
문의처
ㅇ 일반형 신청 : 운영기관(테크노파크 및 중소기업융합중앙회)
권역 |
운영기관명 |
담당자 |
직함 |
연락처 |
이메일 |
서울 |
서울테크노파크 |
전경아 |
주임 |
02-944-6031 |
untact@seoultp.or.kr |
중소기업융합중앙회 |
김우정 |
주임 |
042-331-0573 |
philia@k-sca.or.kr | |
경기 |
경기테크노파크(남부) |
이도훈 |
주임 |
031-500-3076 |
dhl@gtp.or.kr |
경기대진테크노파크(북부) |
이아름 |
연구원 |
031-539-5044 |
arulee@gdtp.or.kr | |
중소기업융합중앙회 |
백유현 |
대리 |
031-888-5524 |
하단의 [첨부파일] 참조 | |
인천 |
인천테크노파크 |
유동식 |
과장 |
032-260-0613 |
dsyoo@itp.or.kr |
강원 |
강원테크노파크 |
길정훈 |
차장 |
033-248-5616 |
sider26@gwtp.or.kr |
대전 |
대전테크노파크 |
서완교 |
책임 |
042-930-4882 |
mark2151@djtp.or.kr |
세종 |
세종테크노파크 |
김수영 |
연구원 |
044-850-2147 |
ksy88@sjtp.or.kr |
충남 |
충남테크노파크 |
이정현 |
과장 |
041-589-0634 |
fangse@ctp.or.kr |
충북 |
충북테크노파크 |
김경수 |
책임 |
043-270-2211 |
kskim@cbtp.or.kr |
대구 |
대구테크노파크 |
손대수 |
책임 |
053-757-4141 |
dsson@ttp.org |
경북 |
경북테크노파크 |
박시찬 |
주임 |
053-819-3064 |
psc34@gbtp.or.kr |
부산 |
부산테크노파크 |
강동기 |
연구원 |
051-320-3681 |
sense742@btp.or.kr |
울산 |
울산테크노파크 |
최선아 |
연구원 |
052-219-8623 |
csa1407@utp.or.kr |
경남 |
경남테크노파크 |
허태영 |
선임 |
055-259-3373 |
yeshty@gntp.or.kr |
광주 |
광주테크노파크 |
박래열 |
책임 |
062-602-7221 |
daviz@gjtp.or.kr |
전남 |
전남테크노파크 |
장미정 |
선임 |
061-729-2541 |
jarose91@jntp.or.kr |
전북 |
전북테크노파크 |
김재희 |
선임 |
063-219-2146 |
jhjh1205@jbtp.or.kr |
제주 |
제주테크노파크 |
조정민 |
연구원 |
064-720-3031 |
jungmin@jejutp.or.kr |
* 중소기업 융합중앙회는 서울 및 경기지역 지식산업센터만 선정ㆍ구축 지원
ㅇ 시스템 관련 : 이나라도움 사용자지원센터 (☏ 1670-9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