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중소기업 기술개발(R&D) 역량제고사업 상반기 과제 공고
□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을 위한 신기술 분석 등 기획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전문가 등을 활용한 기술애로 해결 지원
□ '22년 기술개발(R&D) 기획지원 663개 과제, 맞춤형 기술파트너 167개 과제 지원(공고 : 1.18(화)~2.18(금), 접수 : 2.7(월)~2.18(금))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는 중소기업의 기술개발(R&D)기획 역량 강화 및 현장 기술애로 해결을 위한 2022년 기술개발(R&D)역량제고사업 상반기 시행계획을 1월 18일(화)에 공고한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기술개발(R&D)역량제고사업'은 기술개발(R&D)기획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과제 기획지원을 통해 사업화 성공률을 제고하고, 기술전문가를 활용해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중소기업기술개발(R&D)역량제고 사업 개요 >
내역사업명
|
구분
|
지원예산
(억원)
|
지원과제
인원(개)
|
지원
규모
|
사업 내용
|
기술개발
(R&D)
기획지원
|
기술개발
(R&D)
기획
|
상
|
16.6
|
332
|
최대
3개월, 5백만원
|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신기술의
기술ㆍ시장 분석, 기술개발과 사업화 전략 수립 등을 위해 기획기관을
통한 기획 지원
|
하
|
16.6
|
331
|
기획역량
강화교육*
|
5.7
|
4,300명
|
-
|
중소기업 재직자의 기술개발(R&D)기획역량 내재화와 자발적 기술개발(R&D)기획
촉진을 위해 기술개발(R&D) 전단계 교육지원
|
맞춤형
기술파트너
지원
|
맞춤형
기술파트너지원
|
상
|
30
|
100
|
최대
9개월, 3천만원
|
기술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위해 대학의 기술전문가를 연결(매칭)해 맞춤형
연구개발을 지원
|
하
|
10
|
67
|
* 기획역량강화교육은 별도의 공고 없이 교육계획에 따라 상시 접수
'기술개발(R&D)기획지원'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 기술개발(R&D) 수행경험이 없는 중소기업(첫걸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개발(R&D)과제의 연구개발계획서의 기획과 작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2년에는 첫걸음기업의 참여가 많은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디딤돌과제 와 기술개발(R&D)기획지원 사업의 높은 경쟁률* 등을 고려해 지원 물량을 663개로 대폭 확대했다.
* 디딤돌과제 경쟁률('21) 11.1:1 / 기술개발(R&D)기획지원 경쟁률('21) 4.5:1
'맞춤형기술파트너지원' 사업은 권역별 공학컨설팅센터*의 기술전문가와 기반(인프라)을 활용해 기술개발(R&D)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애로 해결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2년에는 167개(상반기 100, 하반기 67)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 공학컨설팅센터 현황 : (서울ㆍ경인ㆍ강원) 인천대, 한성대, 가천대, (대구ㆍ경북) 금오공대, 대구대, (부산ㆍ울산ㆍ경남) 창원대, (대전ㆍ충청ㆍ세종) 한밭대, (호남ㆍ제주) 전북대, 전남대
중소벤처기업부 원영준 기술혁신정책관은 "기술개발(R&D)역량제고 사업은 기술개발(R&D)수행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획역량 강화와 기술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올해는 기획지원 물량이 대폭 확대한 만큼 첫걸음기업의 기획역량이 제고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맞춤형기술파트너 사업 신청은 2단계로 진행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중소기업이 기술애로 해결의뢰서를 중소기업기술개발 종합관리시스템(SMTECH)으로 제출하면, 공학컨설팅센터에서 해결의뢰서를 검토해 기술전문가를 연결(매칭)하고, 기술전문가와 중소기업이 함께 '기술애로 해결계획서'를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으로 제출해야 한다.
< 맞춤형기술파트너지원사업 신청 절차 >
사업공고
|
→
|
신청ㆍ접수(해결의뢰서)
|
→
|
전문가 매칭
|
→
|
신청ㆍ접수(해결계획서)
|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
|
공학컨설팅센터
|
중소기업/기술전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