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영상

온라인 판매 고민 끝! 네이버, 카카오의 판매 노하우 대공개! 유삼쓰의 보도또보고 ep.9

  •   2025-03-17
  • 출처 : 중소벤처기업
  • 조회수 : 36
동영상 자막

[음악]

안녕하세요 유 3수의 보도 또보고

여러분은 온라인 쇼핑을 하루에 몇

번이나 하시나요 요즘은 온라인 쇼핑이

일상적인 대세가 된 시대인데요 만약에

판매자로서 스마트 스토어를 열었는데

고객이 없거나 광고비를 쓰고 있는데도

매출이 발생하지 않아서 걱정이신가요

오늘은 온라인 판매를 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 네이버나 카카오가

온라인 판매 전략을 교육하고 중기부가

5천만 원까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해

드리는 지원 사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사업은

바로 강한 소상공인 성장 지원 사업

중 온라인 셀러 유형인데요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강한

소상공인이란 기업과 정신 장인 정신을

가졌거나 혁신적인 아이템을 가진

소상공인을 기업가형 강한 소 공이로

육성하는 사업입니다 크게 세 가지

트랙이 있는데요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트랙은 라이프스타일 로컬

브랜드 장수 소상공인 같은 우수한

소상공인을 발굴하는게 트랙 1이고요

트랙 2는 오늘 설명드릴 온라인 판매

온라인 셀러를 키우는게 두 번째 트랙

2 유형입니다 트랙 3는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게 트랙 3인데요 오늘

설명드릴 유형은 트랙 2인 온라인

셀러 러 지원 유형입니다 사업 목적을

보시면 국내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인

네이버나 카카오와 협업해서 온라인

셀러를 키우기 위한 성장 단계별

교육을 지원해 드리고 있고요 중기부에

5천만 원까지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업 규모입니다 두 단계로

교육을 시키고 있는데요 기초 심화

교육을 1단계로 진행하고 있고요 기초

심화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에 하나여

일부 선정을 통해서 5천만 원까지

사업화 자금 지원과 함께 심화 교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교육 과정 안을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같은 경우

교육생을 150명까지 선발하고 있고요

참여 대상은 네이버 스토어 새싹 등급

이상 판매 져야 합니다 교육 내용은

기초 교육 심화교육 실정 단계로

나눠져 있습니다 카카오 같은 경우는

교육생 100명을 선발하고 있고요

카카오 스토어 입전 판매자를 대상으로

선발하고 있습니다 동일하게 기초 교육

심화교육 실전 교육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그럼 교육 커리큘럼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 같은

경우에는 기초 교육 단계에서 온라인

비즈니스 기초 다지기 그리고 브랜드

구축에 관련된 교육을 하고 있는데요

예를 들자면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성공한 살에 대한 사례 스터디를

교육하고 있고요 내 스토에 대한 상품

경쟁력을 키우는 방안에 대해서

교육하고 있습니다 심화 교육

단계입니다 심화 교육 단계는 마케팅

영량 강화와 라이브 커머스 실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실습 중심 교육을

통해서 스마트폰 차 실습 교육 그리고

라이브 커머스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실전 단계에서는 매출가

직결되는 일대일 밀착 실전 마스터

교육을 하고 있는데요 일대일 전문가와

매칭해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고요 AI

2를 활용한 스토어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하는 교육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스토어 관련된 교육입니다 기초

교육 단계에서는 카카오 스토어 성공

사례에 대한 특강을 진행하고 있고요

상품 카테고리별로 전략 코칭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같은 경우에

심화 교육 단계에서는 AI 2를

통해서 상세 페이지를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 광고 기획과 디자인에 대한

교육도 하고 있고요 마케터가 직접

전하는 카카오의 광고 전략에 대해서도

교육하고 있습니다 실전 단계입니다

실전 단계는 스토어 브랜딩 특강을

진행하고 있고요 카카오 쇼핑 라이브에

대해서도 설명드리고 있고 일대일

컨설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5천만 원

사업화 자금을 지원해 드린다고 했는데

그 지원 항목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화 자금에 대해서는 보이시는

항목들에 대한 지출을 할 수가

있는데요 예를 들자면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브랜드를 개발하기 위한

용역비로 지출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특허를 등록할 때 특허에 대한 취득비

특허에 대한 등력 수수료로 사용할

수가 있고요 마케팅 홍보 용역비로

사용하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외부

전문가에 대한 자문 비용 사업 수행을

위한 장비 기기 임차료 비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고요 마지막 막으로

신제품 개발 위한 재료 비료도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신청은 3월 13일

목요일까지 그요 관심 있는 분들은

서둘러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은

소 3024 홈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십니다 말씀드린

온라인 셀업 유형에 대한 사업 수행

기간이 강원 창조 경제 혁신

센터입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강원

창조경제 혁신 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렸던 사항을

마인드맵을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강한 소상공인 온라인

셀러 지원입니다 지원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인데요 온라인 판매 교육과 사업화

자금 지원입니다 온라인 판매 교육은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진행하고 있고요

교육은 기초 심화 교육과 실정

교육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사업화

자금은 기초 심화 교육을 수료한

수료생 중에서 평가를 통해서 지원하고

있고요 최대 5천만 원까지 사파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및 규모입니다 네이버 교육 같은 경우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세싹 등급 이상

판매자의 한해 교육하고 있고요

150명 교육할 예정입니다 카카오

교육 같은 경우는 카카오 톡 스터

입전 판매자를 대상을 하고 있고요

100명 진행할 계획입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입니다 신청 기간은 3월

4일부터 3월 13일까지입니다 신청

사이트는 024 홈페이지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십니다 문의

사항은 강원 창조경제 혁신 센터를

통해서 문의하시면

됩니다 요즘 매출이 줄어서 고민인

소상공인 분들이 많이 계실 겁니다

매출이 감소하는 시기에 강한 소상공인

온라인 셀러 지원 사업을 통해서

온라인에서 새로운 기회를 잡으시기

바랍니다 중기부에서 창업을 준비하고

있거나 온라인을 통해서 매출 증대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새로운 기회를

잡으실 수 있도록 열심히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여성 기업

지원에 대한 설명을 드렸는데요 여성

기업 정의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몇 가지 댓글에

대해서 제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성 기업은 성비에 관계 없이 지원이

되는 건가요라고

질문하셨는데요네 맞습니다 우선 여성

기업에 대한 정의는 여성 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에 나와 있습니다 첫 번째

정의는 대표권을 가진 임원으로서

여성이 등기돼 있으면서 여성이 최대

출자자로 돼 있는 상법상의 회사이어야

됩니다 두 번째 부가 가치 세법 또는

소득세법에 따라서 여성이 대표 이사로

되어 있는 개인 사업자이어야 됩니다

또는 협동 조합인 경우에는 여성이

대표로 되어 있으면서 협동 조합의

과반수 이상이 여성으로 되어 있어야

됩니다 두 번째로 남녀가 공동으로

창업한 경우에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

말씀하셨습니다 남녀가 공동으로 창업한

경우에도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말씀드렸다시피 여성이 대표 이사로

등록돼 있어야 되고 여성이 최대

출자자이면서 실질적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여야 합니다 여성

직원의 비중이 높을 시에 여성

기업으로 포함되는 거에 대한 제안을

해 주셨는데요 현재 여성 기업은 협동

조합이 인 경우에만 여성 직원의

비중을 따지고 있습니다 여성이 대표가

아니더라도 대다수의 구성원들이 여성인

경우에는 여성 기업으로 포함시켰으며

좋겠다라는 제한에 대해서는 제가 여성

기업을 담당하는 부서에 제한사항을

전달을 드렸고요 담당 부서에서 검토할

예정입니다

[음악]

스마트 스토어 열었는데 방문자는 없고,

광고비는 쓰는데 매출이 안 나서 걱정이신 분들 많으셨죠?

이제는 걱정 마세요!

네이버, 카카오 등 대형 플랫폼 온라인 판매 꿀팁부터

매출 UP! 실전 전략까지 알려주고,

중기부에서 최대 5,000만 원 지원금까지 챙겨드립니다

놓치기 아까운 이 기회! 오늘 딱 알려드릴게요

강한 소상공인 온라인 셀러 공고 자세히 보기

https://www.sbiz24.kr/#/pbanc/316


※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바로가기)